국도 제32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32호선은 충청남도 태안군 만리포에서 시작하여 대전광역시 중구 서대전네거리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이다. 1971년 지정되었으며, 1996년 기점과 종점이 변경되었다. 주요 경유지로는 태안군, 서산시, 당진시, 예산군, 공주시,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가 있으며, 서산시 성연면 일람리부터 음암면 부장리까지 7.65km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도 제32호선 - 서산 나들목
서산 나들목은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에 위치한 서해안고속도로의 교차로로, 국도 제32호선과 연결되며, 개통 후 국도 이설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입체화 공사를 완료했고 인근에 서산테크노밸리가 있다. - 국도 제32호선 - 현충원로
현충원로는 2009년 고시된 대전 유성구의 도로로, 국도 1호선 등과 접속하며 국립대전현충원과 현충원역이 위치한다. - 태안군의 교통 -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은 충청남도 태안군 안흥항과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쌍이리를 연결하는 총 연장 209.2km의 도로로, 재정 문제와 국도 제40호선과의 중복 구간 해소를 거쳐 2001년 신설되었으며, 현재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를 지나는 주요 간선도로이다. - 태안군의 교통 -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국토 서쪽 해안선을 따라 이어지는 897km의 장거리 국도로, 주요 교량과 터널을 포함하며 경제 활성화와 교통 편의 증진에 기여하고 일부 구간은 건설 중에 있다. - 대전 중구의 교통 - 서대전역
1936년 개업한 서대전역은 호남선의 분기점으로서, 대전시 성장과 함께 발전하여 호남선 복선화 이후 주요 경유지가 되었고, KTX 개통 후 신축되어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거점역이 되었으며, 현재는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열차의 주요 연결 역할을 수행하고 대전 도시철도 1호선과도 인접해 있다. - 대전 중구의 교통 -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7호선은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경기도 광주시를 잇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지정 이후 노선 변경과 확장 사업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여러 지역과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도로이다.
국도 제32호선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도로 종류 | 일반 국도 |
노선명 | 태안 ~ 대전선 |
노선 번호명 | 국도 제32호선 |
총연장 | 180.7 km |
기점 |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만리포해수욕장 |
주요 경유지 | 충청남도 태안군 충청남도 서산시 충청남도 당진시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공주시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전광역시 서구 대전광역시 중구 |
종점 | 대전광역시 중구 용두동 서대전네거리 |
개통년 | 1971년 8월 31일 |
주요 교차 도로 | |
교차 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익산평택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지선 국도 제1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0호선 국도 제45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
기타 정보 | |
방향 A | 서쪽 |
기점 A | 태안군, 충청남도 |
방향 B | 동쪽 |
기점 B | 중구, 대전 |
2. 역사
1971년 8월 31일,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32호선'(서산 ~ 대전선)으로 지정되었다.[4] 1972년 2월 22일에는 기점이 충청남도 서산군 태안면(동문리)에서 소원면(만리포)로 연장되었다.[5]
태안군 소원면의 만리포해수욕장에서 만리포시외버스터미널을 지나 모항교차로에서 모항항길과 교차한다. 송원삼거리에서 모항파도로, 송의교차로에서 대소산길, 독점교차로에서 산간이길, 송현1교차로에서 대소산길, 신덕교차로에서 법산길, 법산교차로에서 사라실길, 법현교차로에서 법산길과 교차하며, 영전교차로에서 마금로, 영전길, 중뱅이길과 교차한다.[38] 근흥면을 지나 종대교차로에서 돌문길, 종대길과 교차하고, 소원면으로 진입하여 시목교차로에서 수룡길, 시목길, 백교교차로에서 백교길과 교차한다.[38]
1973년부터 1976년까지 예산군, 당진군, 공주시 일대에서 도로 선형 개량 공사가 진행되었다.[6][7][8] 1986년 5월 26일에는 서산군 태안읍 남문리 ~ 동문리, 서산군 서산읍 읍내리 ~ 동문리, 당진군 당진읍 채운리 ~ 원당리, 당진군 우강면 송산리 ~ 합덕읍 운산리, 예산군 예산읍 산성리 ~ 향천리 구간이 폐지되었다.[9]
1994년 12월 22일 공주군 유구면 백교리 ~ 녹전리 1.9 km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10] 2019년까지 공주시, 태안군, 서산시, 당진군, 예산군 일대에서 도로 확장 및 개량 공사가 꾸준히 이루어졌다.[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8][30][31][32][33][34][35] 2009년 4월 17일에는 서산시 성연면 일람리 ~ 음암면 부장리 7.65 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29]
1996년 7월 1일, 기점이 '충청남도 서산군 소원면 만리포'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태안읍'으로, 종점이 '충청남도 대전시'에서 '대전광역시 유성구'로 변경되었다.[11] 2008년 11월 17일에는 기점이 다시 '충청남도 서산시 태안읍'에서 태안군 소원면 만리포'로 변경되었고, '서산 ~ 대전선'에서 '태안 ~ 대전선'으로 변경되었다.[27]
2019년 12월 23일 음암 ~ 성연간 도로 개통으로 서산시 시내 구간(서산시 예천동 ~ 음암면 부장리)을 지정 해제하고 음암 ~ 성연간 도로 구간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36] 2022년 12월 30일에는 학봉 ~ 공암간 도로(대전광역시 유성구 갑동 ~ 공주시 반포면 공암리) 5.4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37]
3. 주요 경유지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근흥면, 태안읍), 서산시 (팔봉면, 인지면, 예천동, 읍내동, 인지면, 갈산동, 성연면, 온석동, 음암면, 운산면), 당진시 (정미면, 행정동, 채운동, 읍내동, 수청동, 시곡동, 송악읍, 신평면, 순성면, 합덕읍), 예산군 (신암면, 예산읍, 대술면, 신양면), 공주시 (유구읍, 신풍면, 사곡면, 우성면, 쌍신동, 신관동, 월송동, 무릉동, 석장리동)을 지난다.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을 지난다.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을 지난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동, 덕명동, 구암동, 장대동, 구암동, 봉명동), 서구 (월평동, 갈마동, 탄방동, 용문동), 중구 (태평동, 오류동)를 지난다.
'''충청남도'''이름 [2] 한국어 이름 연결 위치 참고 말리포항(Mallipo Port) 만리포항 태안군 소원면 종착역 만리포시외버스터미널(Mallipo Intercity Bus Terminal) 만리포시외버스터미널 가락굴삼거리(Galakgul IS) 가락굴삼거리 모항항길(Mohanghang-gil) 송원삼거리(Songwon IS) 송원삼거리 모항파도로(Mohangpado-ro) 송현삼거리(Songhyeon IS) 송현삼거리 송의로(Songui-ro) 만리포고등학교(Mallipo High School) 만리포고등학교 소원삼거리(Sowon IS) 소원삼거리 소근로(Sogeun-ro) 장재삼거리(Jangjae IS) 장재삼거리 마검로(Mageum-ro) 두야 교차로(Duya IS) 두야 교차로 지방도 96호선,
지방도 제603호선
(태흥로)태안읍 지방도 96호선 중복 장산 교차로(Jangsan IS) 장산 교차로 근흥로, 동백로(Geunheung-ro, Dongbaek-ro) 남문 교차로(Nammun IS) 남문 교차로 국도 제77호선, 지방도 96호선
(안면대로), 환동로(Anmyeon-daero, Hwandong-ro)지방도 96호선 중복, 국도 제77호선 중복 평천 교차로(Pyeongcheon IS) 평천 교차로 동백로(Dongbaek-ro) 국도 제77호선 중복 화동 교차로(Hwadong IS) 화동 교차로 중앙로(Jungang-ro) 인평 교차로(Inpyeong IS) 인평 교차로 강경별로, 선비길(Ganggyeongbeol-ro, Seonbi-gil) (고성 교차로)(Goseong IS) (고성 교차로) 진장 3길, 팔봉 2로(Jinjang 3-gil, Palbong 2-ro) 서산시 팔봉면 어송 교차로(Eosong IS) 어송 교차로 팔봉 1로, 팔봉 2로(Palbong 1-ro, Palbong 2-ro) 수랑재 교차로(Surangjae IS) 수랑재 교차로 차동길, 차리강수길(Chadong-gil, Charigangsu-gil) 인지면 화수 교차로(Hwasu IS) 화수 교차로 차동길, 화수 2길, 화수왕대길(Chadong-gil, Hwasu 2-gil, Hwasuwangdae-gil) 풍전 교차로(Pungjeon IS) 풍전 교차로 수현로(Suhyeon-ro) 공림삼거리(Gongrim IS) 공림삼거리 지방도 제649호선
(무학로)(Prefectural Route 649, (Muhak-ro))석남동 국도 제77호선, 지방도 제649호선 중복 예천사거리(Yecheon IS) 예천사거리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77호선, 지방도 제70호선,(충의로), 구운로(Chungui-ro, Goun-ro) 국도 제77호선 중복, 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49호선 중복 (이름 없음)(No name) (이름 없음) 남부순환로, 호수공원 1로(Nambusunhwan-ro, Hosugongwon 1-ro) 국도 제29호선 중복,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49호선 중복 서중사거리(Seojung IS) 서중사거리 독지천로(Deokjicheon-ro) 수석동 국도 제29호선 중복, 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49호선 중복 석림사거리(Seonknim IS) 석림사거리 국도 제29호선, 지방도 제70호선
(중앙로)(Jungang-ro)국도 제29호선 중복, 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49호선 중복 먹거리골사거리(Seosan Food IS) 먹거리골사거리 벌말 1길, 을지로 6로(Beolmal 1-gil, Euljiro 6-ro) 동문동 지방도 제649호선 중복 애향삼거리(Aehyang IS) 애향삼거리 구운로(Goun-ro) 잠홍삼거리(Jamhong IS) 잠홍삼거리 지방도 제649호선
(홍천로)(Hongcheon-ro)잠홍 교차로(Jamhong IS) 잠홍 교차로 은암로(Eunam-ro) 음암면 수석 교차로(Suseok IS) 수석 교차로 수석산업로, 은암로(Suseoksaneom-ro, Eunam-ro) 음암 교차로(Eumam IS) 음암 교차로 은암로(Eunam-ro) 성암대교(Seongam Bridge) 성암대교 탑곡 교차로(Tapgok IS) 탑곡 교차로 지방도 제70호선
탑곡길마재길(Tapgokgilmajae-gil)지방도 제70호선 중복 운산 교차로(Unsan IS) 운산 교차로 지방도 제70호선
(은암로), 서해안고속도로(Eunam-ro, Seohaean Expressway)운산면 지방도 제70호선 중복, 서산 나들목 연결 여미 교차로(Yeomi IS) 여미 교차로 운정로(Unjeong-ro) 사관 교차로(Sagwan IS) 사관 교차로 지방도 제647호선
(정미로)(Jeongmi-ro)당진시 정미면 신시 교차로(Sinsi IS) 신시 교차로 갈골로(Galgol-ro) 봉생 교차로(Bongsaeng IS) 봉생 교차로 산동로, 상구실로(Sandong-ro, Sanggusil-ro) 채운교(Chaeun Bridge) 채운교 채운 교차로(Chaeun IS) 채운 교차로 역천로, 웅곡로(Yeokcheon-ro, Ungok-ro) 행정동 탑동 교차로
(탑동교)(Tapdong IS
(Tapdong Bridge))탑동 교차로
(탑동교)지방도 제615호선
(서부로)(Seobu-ro)원당 교차로(Wondang IS) 원당 교차로 원당로, 동부로(Wondang-ro, Dongbu-ro) 시곡 교차로(Sigok IS) 시곡 교차로 제안로(Jeongan-ro) 감골 교차로(Gamgol IS) 감골 교차로 수청로(Sucheong-ro) 입암 교차로(Ibam IS) 입암 교차로 당진산업단지사거리(Dangjin Industrial Complex IS) 당진산업단지사거리 반촌로, 시곡로(Banchon-ro, Sigok-ro) 기지시 교차로(Gijisi IS) 기지시 교차로 지방도 제619호선
(테울모시로)(Teulmosi-ro)송악읍 가마못 교차로(Gamamot IS) 가마못 교차로 지방도 제633호선
(반촌로), 서해안고속도로(Banchon-ro, Seohaean Expressway)당진 나들목 연결 반촌 교차로(Banchon IS) 반촌 교차로 반촌로, 서해안고속도로(Banchon-ro, Seohaean Expressway) 당진 나들목 연결 광명 간이교차로(Gwangmyeon IS) 광명 간이교차로 광명길, 조비실길(Gwangmyeon-gil, Jobisil-gil) 신평산업단지 교차로(Shinpyeong Industrial Complex IS) 신평산업단지 교차로 조비실길(Jobisil-gil) 신평면 거산 교차로(Geosan IS) 거산 교차로 도감골길(Dogamgol-gil) 거산1 교차로(Geosan 1 IS) 거산1 교차로 도감길, 동부길, 서실길(Dogam-gil, Dongbu-gil, Seopsil-gil) 거산2 교차로(Geosan 2 IS) 거산2 교차로 국도 제34호선
(서해로), 덕평로(Seohae-ro, Deokpyeong-ro)상오 교차로(Sango IS) 상오 교차로 순성로(Sunseong-ro) 오미교(Omi Bridge) 오미교 상오로(Sango-ro) 아찬 교차로(Achan IS) 아찬 교차로 아찬 1로, 서두물길(Achan 1-ro, Seodumul-gil) 남원천교(Namwoncheon Bridge) 남원천교 중방 교차로(Jungbang IS) 중방 교차로 볼리로(Bolli-ro) 순성면 합덕 교차로(Hapdeok IS) 합덕 교차로 지방도 제70호선
(면천로)(Myeoncheon-ro)합덕읍 (이름 없음)(No name) (이름 없음) 국도 제40호선, 지방도 제622호선
(예덕로)(Yedeok-ro)성동 교차로(Seongdong IS) 성동 교차로 성동로, 운산로(Seongdong-ro, Unsan-ro) 연호대교, 연호 교차로(Yeonho Bridge, Yeonho IS) 연호대교, 연호 교차로 백제로(Baekja-ro) 신석 교차로(Sinseok IS) 신석 교차로 평야 6로(Pyeongya 6-ro) 예당대교(Yedang Bridge) 예당대교 예산군 신암면 신택 교차로(Sintaeg IS) 신택 교차로 오신로(Osin-ro) 신종 교차로(Sinjong IS) 신종 교차로 추사로(Chusa-ro) 계촌교(Gyechon Bridge) 계촌교 예산읍 계촌 교차로(Gyechon IS) 계촌 교차로 궁평길(Gungpyeong-gil) 간양 교차로(Ganyang IS) 간양 교차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45호선
(충서로)(Chungseo-ro)국도 제21호선, 국도 제45호선 중복 점촌삼거리(Jeomchon IS) 점촌삼거리 삽티원로(Sillyewon-ro) 창소사거리(Changso IS) 창소사거리 창말로, 추사로(Changmal-ro, Chusa-ro) 관작삼거리(Gwanjak IS) 관작삼거리 삽티원로(Sillyewon-ro) 석양 교차로(Seokyang IS) 석양 교차로 국도 제45호선, 지방도 제70호선
(윤봉길로)(Yunbonggil-ro)국도 제21호선, 국도 제45호선 중복, 지방도 제70호선 중복 발연 교차로(Balyon IS) 발연 교차로 지방도 제618호선
(황금뜰로)(Hwanggeumtteul-ro)국도 제21호선 중복, 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18호선 중복 예산지하차도(Yesan Underpass) 예산지하차도 금오대로(Geumo-daero) 무한 교차로(Muhan IS) 무한 교차로 국도 제21호선
(충서로), 예산로(Chungseo-ro, Yesan-ro)대회 교차로(Daehoe IS) 대회 교차로 형제고개로(Hyeongjegogae-ro) 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18호선 중복 삽티 교차로(Sapti IS) 삽티 교차로 금오대로(Geumo-daero) 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18호선 중복 향천터널(Hyangcheon Tunnel) 향천터널 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18호선 중복
약 105m대술면 시산 교차로(Sisan IS) 시산 교차로 충령사로, 시산서길(Chungnyeongsa-ro, Sisanseo-gil) 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18호선 중복 대술 교차로(Daesul IS) 대술 교차로 지방도 제616호선, 지방도 제618호선, 지방도 제645호선
(대술로)(Daesul-ro)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16호선, 지방도 제618호선, 지방도 제645호선 중복 귀마 교차로(Gwima IS) 귀마 교차로 마전하삼길, 불원위곡길(Majeonhasam-gil, Burwongwigok-gil) 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16호선, 지방도 제645호선 중복 연리 교차로(Yeon IS) 연리 교차로 배군길(Baegun-gil) 신양면 불원 교차로(Bulwon IS) 불원 교차로 불원위곡길, 불원시왕길(Burwongwigok-gil, Burwonsiwang-gil) 신양 교차로(Sinyang IS) 신양 교차로 지방도 제616호선
(청신로)(Cheongsin-ro)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16호선, 지방도 제645호선 중복 (이름 없음)(No name) (이름 없음) 신양 3길(Sinyang 3-gil) 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45호선 중복 대덕 교차로(Daedeok IS) 대덕 교차로 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45호선
(대덕로)(Daedeok-ro)신덕 교차로(Sindeok IS) 신덕 교차로 차동고개로(Chadonggogae-ro) 차동1 교차로(Chadong 1 IS) 차동1 교차로 차동송정길(Chadongsongjeong-gil) 차동터널(Chadong Tunnel) 차동터널 약 522m 공주시 유구읍 녹천1 교차로(Nokcheon 1 IS) 녹천1 교차로 차동고개로, 살포쟁이길(Chadonggogae-ro, Salpojaengi-gil) 녹천2 교차로(Nokcheon 2 IS) 녹천2 교차로 유구외광로, 고재동길(Yuguoegwang-ro, Gojaedong-gil) 백교교(Baekgyo Bridge) 백교교 만천터널(Mancheon Tunnel) 만천터널 약 155m 만천 교차로(Mancheon IS) 만천 교차로 국도 제39호선, 지방도 제604호선
(유구외광로)(Yuguoegwang-ro)국도 제39호선 중복, 지방도 제604호선 중복 산정1 교차로(Sanjeong 1 IS) 산정1 교차로 신풍길(Sinpung-gil) 신풍면 산정2 교차로(Sanjeong 2 IS) 산정2 교차로 벌떼움길(Beoltteum-gil) 산정 교차로(Sanjeong IS) 산정 교차로 국도 제39호선, 지방도 제604호선
(충의로)(Chungui-ro)사곡 교차로(Sagok IS) 사곡 교차로 지방도 제629호선
(호계황골길)(Hogyehwanggol-gil)사곡면 마곡사 나들목(Magoksa IC) 마곡사 나들목 당진영덕고속도로(Dangjin-Yeongdeok Expressway) 사곡2 교차로(Sagok 2 IS) 사곡2 교차로 마곡사로(Magoksa-ro) (이름 없음)(No name) (이름 없음) 진밭양지편길(Jinbatyangjipyeon-gil) 신영터널(Sinyeong Tunnel) 신영터널 우측 터널: 약 700m
좌측 터널: 약 670m우성면 우성교(Useong Bridge) 우성교 우성초등학교, 우성면사무소(Useong Elementary School, Useong-myeon Office) 우성초등학교, 우성면사무소 우성 교차로(Useong IS) 우성 교차로 국도 제36호선
(공수원로)(Gongsuwon-ro)국도 제36호선 중복 질마 교차로(Jilma IS) 질마 교차로 국도 제36호선
(차동로)(Chadong-ro)연미터널(Yeonmi Tunnel) 연미터널 약 895m 신관동 봉황중학교,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Bonghwang Middle School, Gongju Life Science High School) 봉황중학교,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생명과학고사거리(Life Science IS) 생명과학고사거리 지방도 제651호선
(백제근길)(Baekjekeun-gil)전막 교차로(Jeonmak IS) 전막 교차로 국도 제40호선, 지방도 제96호선
(웅진로), 의당로(Ungjin-ro, Uidang-ro)지방도 제96호선 중복 중앙로삼거리(Jungangro IS) 중앙로삼거리 번영 1로(Beonnyeong 1-ro) 금강둔치 교차로(Geumgang Dunchi Park IS) 금강둔치 교차로 신관로(Singwan-ro) 대학로 교차로(Daehakro IS) 대학로 교차로 공주대학로(Gongjudaehak-ro) 강북 교차로(Gangbuk IS) 강북 교차로 무령로(Muryeong-ro) 월송 교차로(Wolsong IS) 월송 교차로 국도 제23호선
(차령대로)(Charyeong-daero)월송동 장암 교차로(Jangam IS) 장암 교차로 지방도 제96호선, 지방도 제691호선
(금송로)(Geumsong-ro)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지방도 제96호선, 지방도 제691호선 중복 청벽대교(Cheongbyeok Tunnel) 청벽대교 지방도 제691호선 중복 공주시 반포면 청벽삼거리(Cheongbyeok IS) 청벽삼거리 지방도 제691호선
(왕흥장강로), 창벽로(Wangheungjangang-ro, Changbyeong-ro)마티터널(Mati Tunnel) 마티터널 약 725m 금천 교차로(Geumcheon IS) 금천 교차로 가마봉길(Gamabong-gil) 반포 교차로(Banpo IS) 반포 교차로 국도 제1호선
(반포세종로)(Banposejong-ro)국도 제1호선 중복 공암 교차로(Gongam IS) 공암 교차로 송공로(Songgong-ro) 희망 교차로(Heuimang IS) 희망 교차로 상하신길(Sanghasin-gil) 박정자삼거리(Bakjeongja IS) 박정자삼거리 동학사 1로(Donghaksa 1-ro) 삽재 교차로(Sapjae IS) 삽재 교차로 국도 제1호선
(배군로)(Baegun-ro)삽재(Sapjae) 삽재 대전광역시로 이어짐
'''대전광역시'''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85%; text-align: center;"
|-
! 역 이름[3]
! 한글 이름
! 연결
! colspan="2" | 위치
! 비고
|-
! 삽재
| 삽재
|
|rowspan=29|대전광역시
|rowspan=12|유성구
|
|-
! 국립대전현충원
| 국립대전현충원
|
|
|-
! 덕명네거리
| 덕명네거리
| 동서대로
|
|-
! 현충원역삼거리
| 현충원역삼거리
| 노은로
|
|-
! 현충원역
| 현충원역
|
|
|-
! (이름 없음)
| (이름 없음)
| 월드컵대로
| 유성 나들목, 호남고속도로지선과 직결
|-
! 구암교사거리
| 구암교사거리
| 지방도 제32호선
(유성대로)
|rowspan=2|지방도 제32호선 중복
|-
! 구암역삼거리
| 구암역삼거리
| 지방도 제32호선
(유성대로)
|-
! 유성시외버스터미널
| 유성시외버스터미널
|
|
|-
! 유성네거리
(유성온천역)
| 유성네거리
(유성온천역)
| 도안대로
|
|-
! 용반네거리
| 용반네거리
| 도안동로, 온천동로
|
|-
!rowspan=2| 만년교
|rowspan=2| 만년교
|
|
|-
|
|rowspan=11|서구
|
|-
! 만년교네
4. 노선
태안읍에 진입하여 두야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지방도 제603호선 (태흥로)과 교차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과 중복된다.[38] 장산교차로에서 근흥로, 동백로와 교차하고, 남문교차로에서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안면대로), 환동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된다.[38] 평천교차로에서 동백로, 화동교차로에서 중앙로, 인평교차로에서 강경벌로, 선비길과 교차한다.[38]
서산시 팔봉면에 진입하여 (고성교차로)에서 진장3길, 팔봉2로와 교차하고, 어송교차로에서 팔봉1로, 팔봉2로와 교차한다.[38] 인지면으로 진입하여 수랑재교차로에서 차동길, 차리강수길, 화수교차로에서 차동길, 화수2길, 화수왕대길, 풍전교차로에서 수현로와 교차한다.[38] 석남동으로 진입하여 공림삼거리에서 지방도 제649호선 (무학로)과 교차하며, 지방도 제649호선과 중복된다.[38] 예천사거리에서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서해로), 고운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2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된다.[38]
부춘동에 진입하여 갈산교차로와 서산종합운동장에서 안견로와 교차하고, 성연면의 일람 교차로에서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충의로)와 교차한다.[38] 일람리교차로에서 사연동로와 교차하고, 온석터널(상행 355m, 하행 340m)을 지나 동문동 온석 교차로에서 서령로와 교차한다.[38]
음암면에 진입하여 부산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49호선 (홍천로)과 교차하고, 상홍2교차로에서 상홍1길, 상홍교차로와 부장교차로에서 서해로와 교차한다.[38] 음암교차로에서 음암로와 교차하고, 탑곡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백제사신로, 운암로)와 교차한다.[38]
운산면의 운산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운암로)과 교차하고, 서산 나들목에서 서해안고속도로와 교차한다.[38] 여미교차로에서 운정로와 교차한다.[38]
당진시 정미면에 진입하여 사관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47호선 (정미로)과 교차하고, 신시교차로에서 갈골로, 봉생교차로에서 산동로, 상구실로와 교차한다.[38] 당진동에 진입하여 채운교차로에서 역천로, 운곡로와 교차하고, 탑동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15호선 (서부로)과 교차한다.[38] 원당교차로에서 원당로, 동부로와 교차하고, 시곡교차로에서 정안로, 감골교차로에서 수청로와 교차하며, 당진산업단지사거리에서 반촌로, 시곡로와 교차한다.[38]
송악읍에 진입하여 기지시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19호선 (틀모시로)과 교차하고, 가마못교차로와 반촌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33호선 (반촌로), 서해안고속도로와 교차하며 당진 나들목과 연결된다.[38] 광명간이교차로에서 광명길, 조비실길과 교차한다.[38]
신평면에 진입하여 신평산업단지교차로에서 조비실길, 거산교차로에서 독암골길, 거산1교차로에서 독암길, 동부길, 섭실길과 교차하고, 거산2교차로에서 국도 제34호선 (서해로), 덕평로, 부곡길과 교차한다.[38] 상오교차로에서 순성로와 교차하고, 오미교에서 상오로, 아찬교차로에서 아찬1로, 서두물길과 교차한다.[38]
순성면에 진입하여 중방교차로에서 본리로와 교차한다.[38] 합덕읍에 진입하여 합덕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면천로)과 교차하고, 국도 제40호선, 지방도 제622호선 (예덕로)과 교차한다.[38] 성동교차로에서 성동로, 운산로와 교차하고, 연호대교와 연호 교차로에서 상덕로와 교차하며, 신석교차로에서 평야6로와 교차한다.[38]
예산군 신암면에 진입하여 예당대교를 건너 신택교차로에서 오신로와 교차하고, 신종교차로와 예산추사고택 나들목에서 추사로와 익산평택고속도로와 교차한다.[38]
예산읍에 진입하여 계촌교차로에서 궁평길과 교차하고, 간양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45호선 (충서로), 벚꽃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45호선과 중복된다.[38] 점촌삼거리와 관작삼거리에서 신례원로와 교차하고, 창소사거리에서 창말로, 추사로와 교차한다.[38] 석양교차로에서 국도 제4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윤봉길로)과 교차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된다.[38] 발연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18호선 (황금뜰로)과 교차하며, 지방도 제618호선과 중복된다.[38] 예산지하차도에서 금오대로, 무한 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 (충서로, 예산로)와 교차한다.[38] 대회교차로에서 형제고개로, 삽티교차로에서 금오대로와 교차하고, 향천터널(약 105m)을 지난다.[38]
대술면에 진입하여 시산 교차로에서 충령사로, 시산서길과 교차하고, 대술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16호선, 지방도 제618호선, 지방도 제645호선 (대술로)과 교차하며, 지방도 제616호선, 지방도 제645호선과 중복된다.[38] 귀마교차로에서 마전하삼길, 불원귀곡길과 교차한다.[38]
신양면에 진입하여 연리교차로에서 백운길, 불원교차로에서 불원귀곡길, 불원시왕길과 교차하고, 신양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16호선 (청신로)과 교차한다.[38] 신양리에서 신양3길과 교차하고, 대덕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45호선 (대덕로)과 교차한다.[38] 신덕교차로에서 차동1교차로에서 차동고개로, 차동대촌길, 차동송정길과 교차하고 차동터널(557m)을 지난다.[38]
공주시 유구읍에 진입하여 녹천1교차로에서 살포쟁이길, 녹천2교차로에서 유구외곽로, 고재동길, 녹천중골길과 교차한다.[38] 유구터널(155m)을 지나 만천교차로에서 국도 제39호선, 지방도 제604호선 (유구외곽로)과 교차하며, 국도 제39호선, 지방도 제604호선과 중복된다.[38] 만천삼거리에서 유구외곽로와 교차한다.[38]
신풍면에 진입하여 산정1교차로에서 황새골길, 산정2교차로에서 신풍길, 원골예술길과 교차하고, 신풍교차로에서 벌뜸길과 교차한다.[38] 산정교차로에서 국도 제39호선, 지방도 제604호선 (충의로)과 교차한다.[38]
사곡면에 진입하여 해월교에서 만수동길, 산수골길, 해월길과 교차하고, 사곡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29호선 (호계황골길)과 교차한다.[38] 마곡사 나들목에서 서산영덕고속도로와 교차하고, 사곡2교차로에서 마곡사로, 남두머리길, 월은길과 교차하며, 신영교차로에서 진밭양지편길과 교차한다.[38] 신영터널(상행 711m, 하행 674m)을 지난다.[38]
우성면에 진입하여 우성초등학교, 우성면 행정복지센터를 지나고, 동대교차로에서 국도 제36호선 (공수원로, ''차동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36호선과 중복된다.[38] 단지리에서 우성길, 상서리에서 옥성길, 상서교에서 우성길과 교차하고, 질마교차로에서 국도 제36호선 (차동로), 연미산고개길, 질마고개길, 초정골길, 해포길과 교차한다.[38] 연미터널(858m)을 지난다.[38]
신관동에 진입하여 쌍신동에서 쌍신길과 교차하고, 봉황중학교,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를 지난다.[38] 생명과학고사거리에서 지방도 제651호선 (백제큰길)과 교차하고, 전막교차로에서 국도 제4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웅진로), 전막1길과 교차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과 중복된다.[38] 중앙로삼거리에서 번영1로, 금강둔치교차로에서 신관로, 대학로교차로에서 공주대학로, 강북교차로에서 무령로와 교차한다.[38]
월송동의 월송교차로에서 국도 제23호선 (차령로)과 교차하고, 무릉동에서 무릉동길과 교차한다.[38] 장암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금송로), 외암길과 교차한다.[38]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서 청벽대교를 건넌다.[38]
공주시 반포면에 진입하여 청벽삼거리에서 지방도 제691호선 (왕흥장악로, 창벽로)와 교차하고, 충남과학고등학교를 지난다.[38] 마티터널(상행 705m, 하행 700m)을 지나 금천교차로에서 가마봉길과 교차하고, 반포교차로에서 국도 제1호선 (반포세종로)과 교차하며 국도 제1호선과 중복된다.[38] 공암교차로에서 송곡로, 희망교차로에서 상하신길과 교차하고, 박정자삼거리에서 동학사1로와 교차한다.[38]사봉교차로에서 먹방길,삽재교차로에서 국도 제1호선 (백운로, 금벽로)와 교차한다.[38]
대전광역시 구간은 유성구 삽재 교차로에서 시작하여 국도 제1호선과 교차하며, 국립대전현충원과 덕명네거리를 지난다.[3] 현충원역삼거리에서 노은로와 교차하고, 현충원역을 지난다.[3] 장대삼거리에서 월드컵대로와 만나며, 유성 나들목과 간접 연결된다. 구암교사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 (유성대로)과 중복된다.[3] 구암역삼거리에서 다시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과 분기하고, 유성시외버스정류소를 거쳐 봉명네거리, 유성네거리(유성온천역), 용반네거리를 지난다.[3]
만년교를 건너 서구로 진입, 만년교네거리에서 갑천도시고속도로와 교차한다. 계룡지하차도를 지나 월평삼거리, 갈마네거리, 갈마삼거리, 큰마을네거리(갈마지하차도)를 거친다.[3] 큰마을네거리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대덕대로)과 교차한다.[3] 숭어리샘네거리, 탄방지하차도를 지나 탄방네거리에서 도솔로와 교차하고, 용문역네거리에서 도산로와 만난다.[3]
수침교를 건너 중구로 진입, 용두네거리(계룡육교), 오룡역네거리, 서대전초교삼거리를 지난다.[3] 서대전네거리에서 국도 제4호선 (계백로, 계룡로), 중앙로와 교차하며 끝난다.[3]
4. 1. 충청남도·세종특별자치시
태안군 소원면의 만리포해수욕장에서 만리포시외버스터미널을 지나 모항교차로에서 모항항길과 교차한다. 송원삼거리에서 모항파도로, 송의교차로에서 대소산길, 독점교차로에서 산간이길, 송현1교차로에서 대소산길, 신덕교차로에서 법산길, 법산교차로에서 사라실길, 법현교차로에서 법산길과 교차하며, 영전교차로에서 마금로, 영전길, 중뱅이길과 교차한다.[38] 근흥면을 지나 종대교차로에서 돌문길, 종대길과 교차하고, 소원면으로 진입하여 시목교차로에서 수룡길, 시목길, 백교교차로에서 백교길과 교차한다.[38]
태안읍에 진입하여 두야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지방도 제603호선 (태흥로)과 교차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과 중복된다.[38] 장산교차로에서 근흥로, 동백로와 교차하고, 남문교차로에서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안면대로), 환동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된다.[38] 평천교차로에서 동백로, 화동교차로에서 중앙로, 인평교차로에서 강경벌로, 선비길과 교차한다.[38]
서산시 팔봉면에 진입하여 (고성교차로)에서 진장3길, 팔봉2로와 교차하고, 어송교차로에서 팔봉1로, 팔봉2로와 교차한다.[38] 인지면으로 진입하여 수랑재교차로에서 차동길, 차리강수길, 화수교차로에서 차동길, 화수2길, 화수왕대길, 풍전교차로에서 수현로와 교차한다.[38] 석남동으로 진입하여 공림삼거리에서 지방도 제649호선 (무학로)과 교차하며, 지방도 제649호선과 중복된다.[38] 예천사거리에서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서해로), 고운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2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된다.[38]
부춘동에 진입하여 갈산교차로와 서산종합운동장에서 안견로와 교차하고, 성연면의 일람 교차로에서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충의로)와 교차한다.[38] 일람리교차로에서 사연동로와 교차하고, 온석터널(상행 355m, 하행 340m)을 지나 동문동 온석 교차로에서 서령로와 교차한다.[38]
음암면에 진입하여 부산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49호선 (홍천로)과 교차하고, 상홍2교차로에서 상홍1길, 상홍교차로와 부장교차로에서 서해로와 교차한다.[38] 음암교차로에서 음암로와 교차하고, 탑곡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백제사신로, 운암로)와 교차한다.[38]
운산면의 운산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운암로)과 교차하고, 서산 나들목에서 서해안고속도로와 교차한다.[38] 여미교차로에서 운정로와 교차한다.[38]
당진시 정미면에 진입하여 사관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47호선 (정미로)과 교차하고, 신시교차로에서 갈골로, 봉생교차로에서 산동로, 상구실로와 교차한다.[38] 당진동에 진입하여 채운교차로에서 역천로, 운곡로와 교차하고, 탑동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15호선 (서부로)과 교차한다.[38] 원당교차로에서 원당로, 동부로와 교차하고, 시곡교차로에서 정안로, 감골교차로에서 수청로와 교차하며, 당진산업단지사거리에서 반촌로, 시곡로와 교차한다.[38]
송악읍에 진입하여 기지시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19호선 (틀모시로)과 교차하고, 가마못교차로와 반촌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33호선 (반촌로), 서해안고속도로와 교차하며 당진 나들목과 연결된다.[38] 광명간이교차로에서 광명길, 조비실길과 교차한다.[38]
신평면에 진입하여 신평산업단지교차로에서 조비실길, 거산교차로에서 독암골길, 거산1교차로에서 독암길, 동부길, 섭실길과 교차하고, 거산2교차로에서 국도 제34호선 (서해로), 덕평로, 부곡길과 교차한다.[38] 상오교차로에서 순성로와 교차하고, 오미교에서 상오로, 아찬교차로에서 아찬1로, 서두물길과 교차한다.[38]
순성면에 진입하여 중방교차로에서 본리로와 교차한다.[38] 합덕읍에 진입하여 합덕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면천로)과 교차하고, 국도 제40호선, 지방도 제622호선 (예덕로)과 교차한다.[38] 성동교차로에서 성동로, 운산로와 교차하고, 연호대교와 연호 교차로에서 상덕로와 교차하며, 신석교차로에서 평야6로와 교차한다.[38]
예산군 신암면에 진입하여 예당대교를 건너 신택교차로에서 오신로와 교차하고, 신종교차로와 예산추사고택 나들목에서 추사로와 익산평택고속도로와 교차한다.[38]
예산읍에 진입하여 계촌교차로에서 궁평길과 교차하고, 간양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45호선 (충서로), 벚꽃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45호선과 중복된다.[38] 점촌삼거리와 관작삼거리에서 신례원로와 교차하고, 창소사거리에서 창말로, 추사로와 교차한다.[38] 석양교차로에서 국도 제4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윤봉길로)과 교차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된다.[38] 발연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18호선 (황금뜰로)과 교차하며, 지방도 제618호선과 중복된다.[38] 예산지하차도에서 금오대로, 무한 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 (충서로, 예산로)와 교차한다.[38] 대회교차로에서 형제고개로, 삽티교차로에서 금오대로와 교차하고, 향천터널(약 105m)을 지난다.[38]
대술면에 진입하여 시산 교차로에서 충령사로, 시산서길과 교차하고, 대술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16호선, 지방도 제618호선, 지방도 제645호선 (대술로)과 교차하며, 지방도 제616호선, 지방도 제645호선과 중복된다.[38] 귀마교차로에서 마전하삼길, 불원귀곡길과 교차한다.[38]
신양면에 진입하여 연리교차로에서 백운길, 불원교차로에서 불원귀곡길, 불원시왕길과 교차하고, 신양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16호선 (청신로)과 교차한다.[38] 신양리에서 신양3길과 교차하고, 대덕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45호선 (대덕로)과 교차한다.[38] 신덕교차로에서 차동1교차로에서 차동고개로, 차동대촌길, 차동송정길과 교차하고 차동터널(557m)을 지난다.[38]
공주시 유구읍에 진입하여 녹천1교차로에서 살포쟁이길, 녹천2교차로에서 유구외곽로, 고재동길, 녹천중골길과 교차한다.[38] 유구터널(155m)을 지나 만천교차로에서 국도 제39호선, 지방도 제604호선 (유구외곽로)과 교차하며, 국도 제39호선, 지방도 제604호선과 중복된다.[38] 만천삼거리에서 유구외곽로와 교차한다.[38]
신풍면에 진입하여 산정1교차로에서 황새골길, 산정2교차로에서 신풍길, 원골예술길과 교차하고, 신풍교차로에서 벌뜸길과 교차한다.[38] 산정교차로에서 국도 제39호선, 지방도 제604호선 (충의로)과 교차한다.[38]
사곡면에 진입하여 해월교에서 만수동길, 산수골길, 해월길과 교차하고, 사곡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29호선 (호계황골길)과 교차한다.[38] 마곡사 나들목에서 서산영덕고속도로와 교차하고, 사곡2교차로에서 마곡사로, 남두머리길, 월은길과 교차하며, 신영교차로에서 진밭양지편길과 교차한다.[38] 신영터널(상행 711m, 하행 674m)을 지난다.[38]
우성면에 진입하여 우성초등학교, 우성면 행정복지센터를 지나고, 동대교차로에서 국도 제36호선 (공수원로, ''차동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36호선과 중복된다.[38] 단지리에서 우성길, 상서리에서 옥성길, 상서교에서 우성길과 교차하고, 질마교차로에서 국도 제36호선 (차동로), 연미산고개길, 질마고개길, 초정골길, 해포길과 교차한다.[38] 연미터널(858m)을 지난다.[38]
신관동에 진입하여 쌍신동에서 쌍신길과 교차하고, 봉황중학교,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를 지난다.[38] 생명과학고사거리에서 지방도 제651호선 (백제큰길)과 교차하고, 전막교차로에서 국도 제4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웅진로), 전막1길과 교차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과 중복된다.[38] 중앙로삼거리에서 번영1로, 금강둔치교차로에서 신관로, 대학로교차로에서 공주대학로, 강북교차로에서 무령로와 교차한다.[38]
월송동의 월송교차로에서 국도 제23호선 (차령로)과 교차하고, 무릉동에서 무릉동길과 교차한다.[38] 장암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금송로), 외암길과 교차한다.[38]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서 청벽대교를 건넌다.[38]
공주시 반포면에 진입하여 청벽삼거리에서 지방도 제691호선 (왕흥장악로, 창벽로)와 교차하고, 충남과학고등학교를 지난다.[38] 마티터널(상행 705m, 하행 700m)을 지나 금천교차로에서 가마봉길과 교차하고, 반포교차로에서 국도 제1호선 (반포세종로)과 교차하며 국도 제1호선과 중복된다.[38] 공암교차로에서 송곡로, 희망교차로에서 상하신길과 교차하고, 박정자삼거리에서 동학사1로와 교차한다.[38]사봉교차로에서 먹방길,삽재교차로에서 국도 제1호선 (백운로, 금벽로)와 교차한다.[38]
4. 2.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구간은 유성구 삽재 교차로에서 시작하여 국도 제1호선과 교차하며, 국립대전현충원과 덕명네거리를 지난다.[3] 현충원역삼거리에서 노은로와 교차하고, 현충원역을 지난다.[3] 장대삼거리에서 월드컵대로와 만나며, 유성 나들목과 간접 연결된다. 구암교사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 (유성대로)과 중복된다.[3] 구암역삼거리에서 다시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과 분기하고, 유성시외버스정류소를 거쳐 봉명네거리, 유성네거리(유성온천역), 용반네거리를 지난다.[3]
만년교를 건너 서구로 진입, 만년교네거리에서 갑천도시고속도로와 교차한다. 계룡지하차도를 지나 월평삼거리, 갈마네거리, 갈마삼거리, 큰마을네거리(갈마지하차도)를 거친다.[3] 큰마을네거리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대덕대로)과 교차한다.[3] 숭어리샘네거리, 탄방지하차도를 지나 탄방네거리에서 도솔로와 교차하고, 용문역네거리에서 도산로와 만난다.[3]
수침교를 건너 중구로 진입, 용두네거리(계룡육교), 오룡역네거리, 서대전초교삼거리를 지난다.[3] 서대전네거리에서 국도 제4호선 (계백로, 계룡로), 중앙로와 교차하며 끝난다.[3]
5.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 (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 (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도로명 | 총연장 (km) | 차로수 | 지정일 | ||
---|---|---|---|---|---|
외곽순환로 (성연 ~ 음암간 도로) | 충청남도 서산시 성연면 일람리(일람 교차로)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부장리(부장 교차로) | 7.65 | 4 | 2009년 4월 17일 |
6. 문제점 및 비판
7. 같이 보기
참조
[1]
법률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2]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3]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4]
법률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5]
법률
대통령령 제6098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2-02-22
[6]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375호
http://theme.archive[...]
1973-09-08
[7]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88호
http://theme.archive[...]
1975-08-08
[8]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3호
http://theme.archive[...]
1976-01-09
[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5호
http://theme.archive[...]
1987-05-26
[10]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4-243호
http://theme.archive[...]
1994-12-22
[11]
법률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1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263호
http://theme.archive[...]
1997-09-01
[13]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414호
http://theme.archive[...]
1997-12-23
[14]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211호
http://theme.archive[...]
2000-09-09
[15]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1호
http://gwanbo.mois.g[...]
2003-01-07
[16]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21호
http://gwanbo.mois.g[...]
2003-02-11
[17]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278호
2004-12-30
[18]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97호
2005-07-05
[1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171호
2005-10-11
[20]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13호
2005-12-20
[21]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31호
2005-12-31
[2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2호
http://gwanbo.mois.g[...]
2007-01-09
[23]
간행물
정정공고
http://gwanbo.mois.g[...]
2007-01-12
[24]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168호
2007-12-17
[25]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64호
2008-04-21
[26]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239호
2008-12-22
[27]
법률
대통령령 제21124호 일반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08-11-17
[28]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248호
2008-12-31
[2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76호, 서산시공고 제2009-575호
http://gwanbo.mois.g[...]
2009-04-17
[30]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193호
http://gwanbo.mois.g[...]
2011-12-14
[31]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199호
http://gwanbo.mois.g[...]
2014-12-31
[32]
뉴스
국도32호선 신양~신풍 4차로 도로 29일 개통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4-12-28
[33]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97호
http://gwanbo.mois.g[...]
2017-01-02
[34]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7호
http://gwanbo.mois.g[...]
2017-03-06
[35]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69호
http://gwanbo.mois.g[...]
2017-12-15
[36]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823호
http://gwanbo.mois.g[...]
2019-12-23
[37]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3-4호
https://gwanbo.go.kr[...]
2023-01-12
[38]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